부활시기
부활은 구원의 역사안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이다.
부활은 3세기까지는 초대 교회에서 지냈던 하나밖에 없던 축일이다.
부활시기에는 예수, 부활 대축일부터 신비를 완성하는 성령강림대축일까지 50일간이다.
초기에는 이 축제를 부활성야에 시작하여 그 다음 날 해가 질때까지 지냈으며, 여기에 부활대축일 다음날인
월요일부터 시작하는 팔일축제가 더해지고,
또 다시 그 다음 6주동안 부활을 기념하게 된 것이다.
예수 부활 대축일은 해다마 달라진다.
유다인들은 초봄의 만월인 니산달의 14일을 파스카축제일로 지냈고
동방교회는 이를 그대로 받아들여으나, 서방교회는 날짜와 관계없이 주일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파스카 축제일 다음 주일을 부활 대축일로 지냈다.
부활 8부 축제
죽음을 이기고 부활하신 예수,
인류에게 참 희망를 안겨주신 예수,
어두운 이 세상에 참된 빛으로 살아계신 예수는 우리의 기쁨이시다.
더구나 세례로 그리스도와 함께 새 생명을 누리게 되었다.
그래서 이 축일을 하루로 끝내지 않고 부활시기의 첫 8일동안은 주님의 대축일로 지낸다.
새 영세자들은 부활 성야의 세례때 입었던 흰옷을 8부까지 입었고 교우들도 세례자들과 함께 새 옷을 입고
세례 갱신을하고 세례의 은총을 감사드리며 부활의 의미를 자신들의 생활속에 되새겨 간다.
부활 축일이 신앙의 근본 축일이므로 12세기부터 8부로 끝내지 않고 성령강림까지 7주간을
축제기간으로 지내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8부 전례는
부활하신 그리스도와의 만남
부활하신 그리스도께 대한 신망애(信望愛) 삼덕으로 우리도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함을 나타낸다.
부활 삼종기도
“부활의 날” 인 주일과 부활시기에는 삼종기도를 서서 바친다.
서 있는 자세는 살아있는 인간의 자세,
승리자의 자세이기 때문에 부활로 승리한 우리가 충만된 기쁨으로
그리스도를 닮게 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리스도는 살아계시고 우리도 그와 함께 산다” 는
그리스도의 기본 신앙으로 삼종기도를 바친다.